새 정부 출범 후 파죽지세로 상승하던 코스피가 이달 들어 박스권에 갇혀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 상반기 주요국 중 상승률 1위를 기록했지만 이달 중 상승률은 하위권에 머물러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코스피 상승률은 0.32%로 주요국 30개 증시 중 22위였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일본 닛케이 평균 주가는 8.24%, 미국 S&P500 지수는 3.19%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하루 평균 18조 원이 넘던 거래대금도 이달 들어 16조 원으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5월 이후 2~3조 원이던 외국인 순매수 금액도 이달 들어 6천억 원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분수령은 지난달 말 세제개편안이었는데 배당소득 분리과세의 최고 세율과 양도세 부과 대주주 기준을 놓고 시장의 실망감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대주주 기준을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낮춘 것을 놓고는 반대 국민 청원 동의가 5만 명을 넘어 국회가 재심의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2분기 상장사 실적이 시장 예상을 밑돌았던 점도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줬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세제개편안의 재논의 방향성이 코스피 향배를 결정짓는 주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박석현 / 우리은행 애널리스트 : 50억에서 30억으로 조정하는 방안은 주식시장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고요. 투자 심리 차원에서는 원복이 되는 방안 그러니깐 기존에 50억 원의 기준을 유지하는 방안이 주식시장 투자 심리 측면에서는 가장 큰 기대를 걸 수 있는….] <br /> <br />기업들의 3분기 실적 못지않게 다음 달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결정도 중요한 변수입니다. <br /> <br />미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오는 21일 잭슨홀 미팅에서 다음 달 금리 인하에 대한 신호를 내놓는다면 시장은 환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류환홍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ㅣ이영훈 <br />디자인ㅣ정은옥 <br />자막뉴스ㅣ이미영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81703352595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